
서평나눔
?목회와 윤리
-목회윤리연구소-
작성자 : 김판선 전도사
?본 책은 교회의 본질은 무엇인지 구체적으로 규명하고 본질을 회복하고자 '종교개혁" 주제로 집필된 책입니다. ?이 책에 실은 세부 주제는 다음과 같습니다. 첫 번째 '교회개척, 그리고 25년(일암교회 김성일목사)', 두 번째 '10월의 울림:종교개혁, 어디서부터 일까?', 세 번째 "종교개혁"을 다시 생각하다', 네 번째 '스코틀랜드 종교개혁지 순례(1)', 다섯 번째 '동사목사 1년의 여정(성광교회 감강석 목사)'. ?필자는 이와 같은 순서로 내용을 요약하고 동일교회에 적용할 점을 작성하도록 하겠습니다.?
1. 교회개척, 그리고 25년(일암교회 김성일목사)
? 영남신학대 교수이신 김승호 교수님이 일암교회 담임목사님이신 김성일목사님을 인터뷰한 내용이 본 책에 소개 되었습니다. ?주된 내용은 교회개척 준비에 관한 것이었습니다. ?특별히 기도에 대해 강조하였습니다. ?목사님은 개척 초기에 하루 종일 1부에서 4부까지 기도회를 진행하며 교회에서 지내셨습니다. ? 이렇게 기도를 하다 보니 먼 교회를 다니는 이웃 교인들도 와서 기도를 하고 또 이 사람들 중에 개척에 대한 소식을 접해 물질적으로 지원하는 사람들까지 생기게 되었다고 밝혔습니다. ?교회학교의 장소 또한 마찬가지인데, 초기에는 태권도장을 무료로 빌려서 교육하다가 아이들이 기자제를 훼손하여 더 이상 사용하지 못하게 되었는데 기도하여 새로운 장소를 마련할 수 있었다고 하였습니다. ?목사님은 전도사들에게도 부임하기 전에 기도를 꼭 강조하신다고 인터뷰에서 밝히셨습니다. ?
□ 동일교회에 적용할 점
? 필자는 이 내용을 읽고 동일교회에 적용할 점으로 '기도'라는 키워드가 떠올랐습니다. ?우리 교회는 선교봉사실을 항상 개방하여 수시로 기도할 수 있도록 하고 있기 때문에 기도환경에 대해 부족한 것이 없다고 생각합니다. ?책에서 태권도장을 사용하지 못해 기도로 교육장소를 마련한 것처럼 부서 차원에서 아이들이 부서에 필요한 것을 기도제목으로 적게 하고 함께 기도하면 기도의 훈련도 될 뿐만 아니라 믿음도 성장하게 될 것이라 생각합니다. ?
2. 10월의 울림:종교개혁, 어디서부터 일까?
? 본 내용은 영남신학대 역사신학 교수이신 채승희 교수님께서 집필하신 내용입니다. ?주된 내용은 종교개혁 500주년을 맞으면서 개혁의 주체가 교회가 아닌 나 자신임을 말하고 있다는 점입니다. ? 교수님은 교회개혁의 주체가 '교회'가 아닌 '나'임을 주장하며 내가 개혁되기 위해 필요한 것으로 '가톨릭, 예수회의 경건'을 제시하고 있습니다. ?물론 교수님은 '카톨릭교회'를 옹호하는 것은 아님을 밝히고 있습니다. ?단지 나를 통해 한국교회의 개혁방법과 출발점을 모색하자는 것입니다. ?예수회가 강조한 것은 개인의 삶에 부여된 하나님의 뜻을 발견하고 이에 헌신하는 것과 철저한 영적 훈련과 함께 높은 학문성으로 신앙의 근본인 말씀과 교리 배우는 것이었습니다. ?이 모든 것 보다 가장 중요하게 강조한 것은 '순종'이었습니다. ? 교수님은 "모든 개인적 판단을 차치해 두고, 우리는 우리 주 그리스도의 참된 교회에게 진정으로 순종하기 위해 준비되어야 한다"는 예수회의 글을 인용하며 개혁의 주체인 나 또한 순종의 필요성을 제시하셨습니다. ? 목회자와 성도가 각자의 자리에 예수 그리스도에게 순종할 때에 진정한 개혁을 이룰 수 있다는 것입니다.?
□ 동일교회에 적용할 점
? 글의 내용에서 개혁의 주체는 교회가 아닌 나라는 점이 인상 깊었습니다. ?종교개혁을 생각하면 교회의 교리나 예배가 이렇게 변화되었다고 생각하는데 그것이 아니라 구원을 향한 나의 생각이 변화되었고 그래서 나 또한 지금 개혁의 주체가 된다는 것입니다. ?이것을 우리 교회에 적용하면 아이들이 스스로 내가 변화의 대상임을 가르쳐 줘야 할 것 같습니다. ?물질만능 시대 속에서 살아가는 아이들이 살아가는 태도나 환경등에 있어서 무엇이 부족한지 몰라 가르치기 쉽진 않겠지만, 완전한 말씀 앞에 선 나를 바라보게 하여 기독교교육을 실천하는 것이 중요할 것 같습니다. ?
3. "종교개혁"을 다시 생각하다
? 이 글은 호남신학대학교 역사신학 교수님이신 최상도 교수님의 글입니다. ? 교수님은 종교개혁의 역사 해석의 기본적 태도에 근거하여 조금 더 복합적인 중층의 이해를 돕고자 이 글을 쓰셨습니다. ?오늘날 '종교개혁'으로 옮겨진 The Reformation'의 16세기 '레포마치오'는 세 가지의 의미를 포함하고 있는데 그 중 '대학 교육과정의 재구성'을 중점으로 본고는 종교개혁이 무엇을 상징하고 있는지 이야기하고 있습니다. ?그래서 '대학 교육과정의 재구성'이라는 의미를 주목해 볼 때 '레포마치오'의 '교회내적 개혁'이란 의미와 그 용례에는 사실상 '교회개혁'으로 쓰일 수 있다는 것이 이 글의 주된 논지입니다. ?흔히 '종교개혁'을 떠올리면 루터가 생각나는데 '종교개혁'보다 '교회개혁'으로 이 용어를 읽어 낼 때 우리는 루터를 넘어 교황에 대한 비판과 자국어 성경번역, 이종성찬으로 교회개혁은 그 전부터 있었음을 말하고 있습니다. ? 한편 교수님은 '종교개혁'의 이면에 국가와 종교의 결합으로 내 믿음을 지키고 선포하기 위해 남을 희생시키거나 죽음까지 이르게 할 수 있다는 생각과 그 행위는 그리스도의 복음과 십자가 죽음과 정확히 배치됨을 말하며 개혁은 다시 그리스도를 본받는 '십자가'의 패러다임으로 희생할 것을 결론으로 제시하고 있습니다. ?
□ 동일교회에 적용할 점
? '종교개혁'이라는 용어가 본래 '교회개혁'으로 사용되어야 한다는 것을 알게 되었습니다. ? 또 나아가 교회는 예수님의 본래 가르침인 사랑하며 희생해야 된다는 것을 깨닫게 되었습니다. ? 글에서 주목할 점은 '나의 믿음을 지키고 성장하기 위해 다른 사람을 희생시켜서는 안된다'는 점입니다. ?이것을 통해 부서를 지도함에 있어서 목회자 개인의 생각과 계획보다 희생하며 교사와 학생들의 의견을 더욱 경청하고 조금 느리더라도 함께 성장해야 겠다는 생각이 들었습니다. ?
4. 스코틀랜드 종교개혁지 순례(1)
?이 글은 영남신학대 기독교윤리학 교수이신 김승호 교수님께서 '존 녹스'의 발자취를 따라 스코틀랜드의 종교개혁지를 탐방하신 글입니다. ? 전체 일정은 16일로 경로는 다음과 같습니다. ?글라스고-스털링-퍼스-몬트로스-던디-세인트 앤드류스-린리스고-에든버러-해딩톤-베릭어폰트위드-뉴카슬 어폰 타인-랑카스터-리버풀-버밍엄-옥스퍼드-켄터베리-런던 ? 본고에는 앤드류스까지의 탐방문이 기록되어 있고 린리스고는 다음 호에서 계속 쓰여진다고 합니다.?
□ 동일교회에 적용할 점
? 스코틀랜드의 종교개혁지 탐방문을 읽고 우리 부서 또한 종교개혁지를 탐방하는 프로그램이 있다면 좋을 같다는 생각이 들었습니다. ?
5. 동사목사 1년의 여정(성광교회 김강석 목사)
?이 글은 대구에서 10년 동안 담임목사님을 하시던 김강석 목사님이 성광교회의 동사목사로 청빙되어 1년 동안 사역하신 경험을 인터뷰 형식으로 쓴 글입니다. ? 동사목사는 담임목사가 되기 전에 1년 동안 청빙된 담임목사님에게 인수인계를 받는 목회자를 말합니다. ?교회에 은퇴할 담임목사님과 부임할 담임목사님이 함께 사역하게 된다는 것입니다. ?목사님은 자신의 경험으로 동사목사는 위치는 담임목사이지만 행동은 부목사처럼 해야 된다고 하였습니다. ?그리고 은퇴하신 목사님의 목회업적을 존중하며 천천히 멀리 보는 목회계획을 세워야 한다고 하셨습니다. ?
□ 동일교회에 적용할 점
? '동사목사'가 우리가 흔히 알고 있는 인턴 제도와 비슷한 것 같습니다. ?부서에도 가능하다면 '동사목사'와 같은 제도를 도입하면 좋겠지만, 사례비와 기타 예우 적인 부분에서 조율할 것들이 많아 실현될 가능성은 적어 보입니다. ? 하지만 이 글에서 '동사목사'를 통해 천천히 그리고 멀리 바라봐야 한다는 목사님의 글을 통해 우리 또한 부서 사역을 함에 있어서 이전 사역자의 업적을 존중하고 함께 목회계획을 세워가는 것이 중요하다고 생각했습니다.?
번호 | 제목 | 작성자 | 등록일 | 조회수 | 첨부 파일 |
---|---|---|---|---|---|
42 | (2020년 상반기 목회자 수련회) 목회와 윤리 | 소년부교역자 | 2020-01-27 | 93 | |
41 | (2020년 상반기 목회자 수련회)선교와 교회 - 통전적 선교신학의 한계 | 강영수 | 2020-01-26 | 52 | |
40 | (2020년 목회자 상반기 수련회) 나는 오늘도 걷는다 | 최산성 | 2020-01-23 | 67 | |
39 | (2020년 상반기 목회자 수련회) 크리스천 학부모와 자녀가 꼭 알아야 할 25가지 문제 | 김찬일전도사 | 2020-01-22 | 71 | |
38 | (2020년 상반기 목회자 수련회) 땅끝까지 | 박우열목사 | 2020-01-22 | 83 | |
37 | 광야에 세우는 십자가 | 이진섭목사 | 2020-01-22 | 53 | |
36 | 선교와 교회 Missio Dei(하나님의 선교)의 대안 모색 | IloveJesus | 2020-01-20 | 61 | |
35 | CM(사역자반) 12과 - 동역 실제 | 주님의 용사 | 2013-01-18 | 570 | |
34 | CM(사역자반) 11과 - 협력 사역 | 주님의 용사 | 2013-01-18 | 517 | |
33 | CM(사역자반) 10과 - 봉사 실습 | 주님의 용사 | 2013-01-18 | 473 | |
32 | CM(사역자반) 9과 - 자원 봉사 | 주님의 용사 | 2013-01-18 | 506 | |
31 | CM(사역자반) 8과 - 지역 비전 | 주님의 용사 | 2013-01-18 | 531 | |
30 | CM(사역자반) 7과 - 선교실제 | 주님의 용사 | 2013-01-18 | 460 | |
29 | CM(사역자반) 6과 - 선교란 무엇인가 | 주님의 용사 | 2013-01-18 | 749 | |
28 | CM(사역자반) 5과 - 불타는 세계비전 | 주님의 용사 | 2013-01-18 | 720 |
댓글